[유초연계교육 18] 유초연계교육 관점에서 '준비도'의 4가지 차원: 우리 아이만 준비하면 될까?
유초연계교육 차원에서 초등학교 준비도는 어떤 기준으로 봐야할까요? 유초연계교육 관점에서 '준비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학교 준비도는 우리 아이가 한글을 읽고 쓸 줄 아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2008년 국제저널에 발표된 Arnold, Bartlett, Gowani, Shallwani의 연구 'Transition to School: Reflections on Readiness'는 전 세계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의 전이 실천을 분석하며, 준비도가 아동의 학교 준비도, 학교의 아동 준비도, 가족의 전이 지원 준비도, 지역사회의 참여 준비도라는 4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개념임을 밝혀냈습니다. 이는 누리과정의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
[유초연계교육 17] 호주의 생태학적 접근: 20년 연구가 밝힌 성공적 학교 전이의 비밀
유초연계교육에 대한 호주의 접근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호주에서 학교 전이 연구 프로그램은 20년 이상 지속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유초연계교육과 관련하여 우리에게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Sue Dockett과 Bob Perry 교수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수행한 'Starting School Research Project'는 아동, 가족, 교육자라는 다중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학교 전이를 종단 연구했으며, 전이가 아동 개인만이 아니라 전체 가족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현상임을 밝혀냈습니다.이 연구가 강조하는 비학업적 기술의 중요성, 가족-학교 파트너십, 아동의 목소리와 주체성, 권리 기반 접근은 누리과정의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다섯 영역 모두와 긴밀히..
[유초연계교육 16] '전이'의 진짜 의미: 준비인가, 적응인가, 성장인가?
유초연계교육에서 '전이'는 무엇일까요? 옮겨가는 것? 옮겨가서 잘 지내는 것? 옮겨간 후 발전해가는 것? 유초연계교육은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유초연계교육의 방향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정광순, 박채형(2017)의 문헌연구는 전이를 인식하는 세 가지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국내 연구가 유치원에서는 '준비' 개념으로, 초등학교에서는 '적응' 개념으로 전이를 이해하는 경향이 있어 양자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이를 일회성 입학 이벤트로 볼 것인가, 문화 적응 과정으로 볼 것인가, 생활세계의 확대로 볼 것인가에 따라 누리과정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다섯 영역의 활용 방식이 근본적으로 달라지며, 이는 곧 우리 아이들의 학교 전이 경험의 질..
[유초연계교육 15] 유초연계교육의 어려움과 해결책
유초연계교육이 필요하지만, 가지 않았던 길이기에 어려움도 있습니다. 유초연계교육의 어려움을 알게 된다면, 유초연계교육의 해결책까지 연결해서 구상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유치원 교사들이 유초연계교육을 실행하면서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조혜진, 김수연(2017)의 연구는 전국 유치원 만5세반 교사 264명을 조사하고 5명을 심층 면담하여, 누리과程 다섯 영역을 초등교육과 연결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직면하는 구체적인 어려움을 밝혀냈습니다.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 교사지도서와 활동자료 부족, 학부모의 학습지도 요구와의 갈등, 초등학교의 비협조적 태도, 그리고 과반수 이상이 평가조차 하지 않는 현실까지, 이 연구는 유초연계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2022년 이음교육..